본문 바로가기
일상 트렌드 정보

2023 마케팅 트렌드 코리아 키워드 10가지 정리

by 유정집 2023. 1. 8.

트렌드 코리아는 매년 마케팅 트렌디 키워드 10가지를 발표합니다. 2023년에도 10가지 키워드가 나왔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 10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각각의 핵심만 담았으니 집중해서 좋은 정보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목차
1. 2023 트렌드 코리아 키워드 10가지
1) 평균실종
2) 오피스 빅뱅
3) 체리슈머
4) 인덱스 관계
5) 뉴 디맨드 전략
6) 디깅모멘텀
7) 알파세대가 온다
8) 선제적 대응기술
9) 공간력
10) 네버랜드 신드롬
2. 다시 보는 2022 트렌드 키워드 10가지

트렌드-코리아-키워드-2023

1. 2023 트렌드 코리아 키워드 10가지

1. 평균실종

평균, 중간 기준이 사라진 시대

평균실종은 말 그래도 어느 특정 집단의 평균, 보통 값이 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사람들의 취향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건을 소비할 때 양극화, 다각화, 단극화가 심해졌습니다. 즉 기업에서 소비자에게 물건을 팔 때 소비자들의 니즈를 세분화하지 않고 마케팅을 하게 되면 좋은 성과를 얻기가 어렵게 됐습니다. 마케터 입장에서는 이제 소비자를 세분화하고 그들의 니즈에 따라 시장을 재정의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2. 오피스 빅뱅

일에 대한 기준이 바뀐 시대

코로나19 이후로 재택근무, 자율 출퇴근 등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의와 문화가 달라졌습니다. 더 이상 평생직장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퇴직자, 이직자가 늘어났고 프리랜서도 늘어났습니다. 이제는 회사 일보다는 자신의 일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또한 본업과 더불어 추가적인 부수입을 창출하는 N잡러도 많아졌습니다.

 

3. 체리슈머

실속을 제대로 챙기는 시대

체리슈머는 실제 구매는 하지 않고 혜택만 챙기려는 소비자를 뜻하는 체리피커에서 탄생한 키워드입니다. 하지만 체리피커와는 조금 다릅니다. 체리슈머는 좀 더 현명하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를 합니다. 이러한 예시로는 공동 구매를 한다던지, 음식 재료를 소분해서 산다던지, OTT서비스 구독료를 다른 사람들과 함께 지불하는 것이 있습니다.

 

4. 인덱스 관계

인간관계가 다각화된 시대

코로나19 이후로 비대면 활동이 빠르게 발달됐습니다. 미래의 트렌드가 더 빨리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사람들은 오프라인뿐만이 아닌 비대면 온라인 활동도 익숙해졌고, 이곳에서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드는 데 익숙합니다. 즉 과거처럼 직접 만나서 얼굴을 보고, 대화를 해야만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이제는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등 다양한 SNS을 통해 새로운 인간 관계를 빠르게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인간관계가 더 다양해졌습니다. 인스타그램에서 만난 친구는 인친(인스타 친구), 페이스북에서 만난 친구는 페친(페이스북 친구) 등으로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5. 뉴 디멘드 전략

새로운 경험, 편익으로 수요를 만드는 시대

2023년에는 광고, 정보, 상품, 서비스 모든것이 과잉인 시대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과잉상황 속에서도 소비자의 흥미를 이끄는 새로운 경험과 편익은 수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뉴 디멘드 전략의 핵심은 소비자에게 브랜드 서비스, 제품을 사고 싶게 만드는 새로운 니즈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소비자는 어떠한 편익을 보여주기 전까지는 그것이 꼭 필요한지를 모릅니다. 손목 통증을 줄여주는 버티컬 마우스의 필요성을 알려주자, 직장인 대부분이 마우스를 바꾼 것이 그 예시입니다.

 

6. 디깅 모멘텀

특정 분야에 진심인 사람들이 성공하는 시대

자신이 좋아하는 취향을 찾아, 그 분야에 깊게 파고드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을 디깅 모멘텀이라고 합니다. 더이상 회사에서만 돈을 버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틱톡에 진심인 사람들은, 틱톡커가 되어 수천만 원 벌고 있습니다. 먹는 것에 진심인 사람들은 유튜브에서 먹방 콘텐츠를 찍어 수많은 구독자와 함께 많은 돈을 벌었습니다. 

 

이렇게 한 분야에 집중적으로 파고드는 디깅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도 많아졌습니다. 오픈마켓에서는 유튜버들을 위한 크리에이터 방송 세트(카메라, 마이크, 조명 등)를 팔기도 합니다.

 

7. 알파세대가 온다

MZ세대는 끝, 진짜 디지털 네이티브의 시대

알파세대는 2010년 이후에 태어난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누구보다 코로나19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 비대면에 더 익숙한 세대입니다. 또한 이들은 쇼츠, 틱톡, 릴스 등 숏폼 콘텐츠에 익숙하며 어렸을 때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기획하고 만드는 데 능숙합니다.

 

8. 선제적 대응기술

기술이 먼저 소비자 니즈를 만족시켜주는 시대

기술이 소비자, 이용자의 니즈를 먼저 찾아서 만족시켜주는 것을 선제적 대응기술이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요청해야 했다면, 이제는 빅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제품, 서비스 사용 습관을 읽고 파악합니다. 나의 음악 취향을 파악하고 알아서 내가 좋아할 만한 음악을 추천해주는 스포티파이 음악 서비스가 예시입니다.

 

9. 공간력

여전히 오프라인의 힘이 강력한 시대

코로나19로 온라인 비대면 시장이 커졌지만 여전히 온라인은 대체할 수 없는 오프라인의 힘이 있습니다. 오프라인은 온라인 공간과 다르게 고객에게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상품, 서비스 구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가능하지만 이러한 직접적 경험은 오프라인의 특권입니다. 대표적으로 팝업스토어, 플래그십 스토어가 있습니다.

 

10. 네버랜드 신드롬

어른이지만 어른이 되고싶지 않은 시대

네버랜드 신드롬은 영원히 어린아이로 살아가고 싶은 피터팬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들에게 어린 시절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상품과 서비스는 큰 인기를 얻습니다. 대표적으로 포켓몬 빵, 디지몬 빵 등이 있습니다. 

 

2. 다시보는 2022 트렌드 키워드 10가지

  1. 나노사회
  2. 머니러시
  3. 득템력
  4. 러스틱 라이프
  5. 헬시플레져
  6. 엑스틴 이즈 백
  7. 바른생활 루틴이
  8. 실재감테크
  9. 라이크 커머스
  10. 내러티브 자본

*해당 포스팅은 오픈애즈, 한눈에 보는 <트렌드 코리아 2023>를 참고했습니다.

 

 

 

 

 

 

댓글